빅데이터2 소비자 행동과 빅데이터 : 숨겨진 나를 찾아줘 빅 데이터(Big data)란 교과서에 의하면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도구의 능력을 넘어서는 대량(테라바이트 급 이상)의 정형 또는 심지어 데이터베이스 형태가 아닌 비정형의 데이터 집합조차 넘어서는 매우 크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최근에 인공지능 AI와 블록체인 기술로 인해 빅데이터가 그로부터 파생된 신기술이라고 착각할 수 있지만 사실 오래전부터 학계에서 연구되던 분야중의 하나였다. 마찬가지로 2018년 비트코인 폭등사태에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긴 했지만 블록체인 기술 자체도 10년 전부터 논의되고 있었던 기술이며 인공지능의 역사는 그보다 더 오래되었다. 세계 경제 포럼은 2012년 떠오르는 10대 기술 중 그 첫 번째를 빅 데이터 기술로 선정했으며 대한민국 지식경제부 R&D 전략기획단은 IT 1.. 2022. 12. 16.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마케팅 시야의 확장 경제적인 관점에서 텍스트는 거의 모든 시장 상호 작용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온라인 검토, 고객 서비스 요청, 보도 자료,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및 기타 상호 작용은 모두 풍부한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부 추정에 따르면 모든 비즈니스 데이터의 80% ~ 95%가 구조화되어 있지 않으며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의 대부분은 텍스트라고 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더 일반적으로 사회뿐만 아니라 소비자, 회사 및 시장 행동을 밝힐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는 것이며 데이터가 유용하기 위해서는 연구원들이 시장 행동의 원인과 결과를 측정, 추적, 이해 및 해석하기 위한 기본적인 통찰력이 필요하다. 즉 적절한 분석을 통해 신뢰성 있는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텍스트는 다양한 그룹에 대한 정보를 .. 2022. 12.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