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COVID-19) 사태 이후로 전국민이 마스크를 쓰는게 당연해지고 최근에는 대중교통 이용시에도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 승차거부를 당할 수도 있다고 하니 그 심각성이 더 체감되는 요즘이다. 사실 대기오염이라는 것을 고민해본 게 이른 봄의 황사 시기만 이었던 것 같은데 이제는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더더욱 마스크를 강제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세태 변화는 그만큼 대기오염이 우리 삶에서 라이프 퀄리티와 관련될 정도로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 사태 이후 마스크에 대한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했지만 그와 더불어 공기 청정기에 대한 관심도 더불어 높아졌다. 본문에서는 공기 청정기의 기능에 따른 트렌드 변화와 구매 및 이용시 참고하면 좋을 내용에 대하여 작성해 보고자 한다.
공기 청정기의 종류
공기 청정기는 말 그대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건강에 해로운 여러가지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다. 다양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원리는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흡착하여 걸러내는 방식과 전기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이 존재하며 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 공기 청정기나 로봇 청정기까지 다양한 제품군이 출시되고 있다.
기계식 공기 청정기
기계식 공기청정기는 보통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의 먼지나 불순물을 걸러서 정화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방식이다. 필터는 초미세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기청정기 헤파필터와 유해가스 제거용인 탈취필터가 기본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업체에 따라 제품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필터가 장착되어 있다. 공기청정기의 에어필터는 보통 섬유필터를 주로 사용하며 불규칙하게 배열된 섬유들로 구성되어 공기청정기로 유입되는 공기중 오염물질은 이 섬유에 의해 차단되어 걸러지게 된다.
전기식 공기 청정기
전기식 공기청정기는 전기적인 방전 원리를 이용한 방식으로 강력한 집진력을 가진 집진판으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이며, 집진판의 방전사에 고압의 직류전압이 흘러 흡입된 공기가 전위계를 통과하면서 부유 물질을 순간적으로 소각하는 방식이다. 집진판에 고전압 볼트를 걸어 전극 자체에서 전자가 생성되어 전극 주위로 플라즈마가 형성되어 공기청정기로 유입된 오염물질 입자들이 전하를 띠게 되고 전하를 띤 오염입자는 집진판으로 들러붙어 제거 된다
이렇게 공기 청정기는 크게 기계식 공기 청정기와 전기식 공기 청정기로 나뉘는데 공기정화 효율은 전기식이 좀 더 뛰어나며 최근에는 주로 복합식 공기 청정기가 출시되는 추세인데 기계식 필터의 장점과 전기식의 미세먼지 및 세균 정화력을 결합한 제품군이 그것이다.
스마트 로봇 공기 청정기
마지막으로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 로봇 공기 청정기에 대하여 알아보자. 코웨이에서 개발된 로봇공기청정기는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실내공기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로봇공기청정기가 오염된 공간을 스스로 찾아가 공기를 깨끗하게 청정하는 혁신적 제품으로 오염된 공간을 스스로 감지한 후 오염도 순서에 따라 자율주행하며 청정한다. 양면으로 강력하게 흡입하고 360도 오토스윙을 통해 빠르고 강력하게 깨끗한 공기를 전달하고 오염도를 감지하는 인디케이터를 원하는 공간에 설치해 자동으로 로봇을 호출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앱으로 공기 상태와 로봇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매 가이드 라인
공기 정화 능력으로만 따지면 고가의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베스트인 것으로 생각되겠지만 자세히 뜯어보면 그렇지도 않다. 구매 목적과 효율이 당연히 중요할 수 밖에 없는데 공기 청정기를 구매할 때는 한국공기청정협회에서 제안한 다음 사항들을 고려하면 유용하다.
① 에너지 소비 효율
공기청정기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의 효율관리기자재 대상제품으로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을 꼭 취득해야하는 제품이다. 공기 정화 능력도 중요하지만 그만큼 유지관리비용 최소화를 위해 1등급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고가의 제품이 꼭 1등급 제품은 아닐 수 있다.
② 제품의 사용 면적 확인
공기청정기의 사용 면적이 넓을수록 당연히 제품은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된다. 공기청정기는 제품마다 사용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용도에 적당한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공기청정기의 사용면적을 결정짓는 성능 수치는 청정화능력(CADR)이며 청정화능력의 수치가 높을수록 사용 면적이 넓은 제품이므로 참고하면 좋다.
③ 미세먼지 제거 집진부 확인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미세먼지를 걸러 깨끗한 공기를 다시 실내를 토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제품이기 때문에 먼지를 걸러주는 집진부가 있는지 꼭 확인 할 필요가 있다. 공기청정기의 집진부는 보통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의 먼지나 불순물을 걸러서 정화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공기청정기의 필터는 초미세먼지까지 제거가 가능한 공기청정기 에어필터와 유해가스 제거용인 탈취필터가 기본구성을 이루고 있다. 추가적으로 업체에 따라 제품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필터가 장착 되어 있으므로 꼭 확인하자.
④ 오존 발생량 확인
오존의 인체 유해성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공기청정기 선택 시 제품의 오존발생량을 꼭 확인하는 것이 좋으며 오존발생량은 WHO(국제보건기구) 권고 기준치인 0.03ppm 이하인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⑤ 소음도 확인
장시간 지속해서 가동해야 하는 공기청정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품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제품의 소음도를 꼭 확인하여 적정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좋다. 공기청정기의 KS 및 단체표준 인증기준을 참조하여, 30평 이상 제품의 경우 55 dB(데시벨) 이하인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⑥ 성능인증을 취득한 제품의 선택
공기청정기는 법정강제인증인 KC전기용품안전인증과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있으며, 법정임의인증으로 KS인증과 환경마크 그리고 한국공기청정협회에서 시행하는 CA마크(실내공기청정기 단체표준인증)가 있다. 공기청정기의 성능은 눈으로 확인 할 수 없기 때문에 꼭 성능이 검증된 공기청정기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대기오염과 호흡기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더욱더 높아질 전망이다. 현재까지의 공기청정기가 있으면 좋고 없어도 그만인 기호에 따른 가전제품이었다면 앞으로는 공기청정기를 필요로 하는 가구가 더 많아지게 될 것으로 추정된다.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더욱 현명한 공기청정기 구입을 기대한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닝시 근육의 모습을 알아야 하는 이유 (0) | 2022.12.16 |
---|---|
내가 알던 페인트가 맞아? 다재다능 유니크 페인트 (0) | 2022.12.16 |
너무 많아서 모르겠어요! 건축박람회 알짜배기 관람법 (2) | 2022.12.16 |
작은 집을 위한 인테리어 솔루션 5가지 (0) | 2022.12.16 |
알아두면 쉬워지는 리모델링 A to O (1) | 2022.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