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원주택 등 타운하우스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힐링’, ‘웰빙’ 트렌드에 따라 많은 건축주가 목조주택을 선호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전원주택은 과시형 시장이었다. 남들에게 폼을 잡고 으스대기 위한 별장스타일의 전원주택이 많았다. 이러한 트렌드가 현재 폭등하고 있는 수도권과 인구밀집지역의 주택가격으로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현재 전원주택 트렌드는 어떻게 바뀌어 가고 있을까? 현재 주택에 대한 인식이 투자와 소유가 아닌 환경과 거주 가치, 가족생활과 휴식 공간으로 바뀌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공교롭게도 소유보다는 가치를 중요하는 스트리밍 라이프와 밀레니엄 세대의 가치관에 딱 부합한다.
이를 입증해주는 것이 주택전문지에서 조사한 결과 가장 살고 싶은 주거형태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도심형주택과 멀티해비테이션, 시골로 이주해 생활하는 전원주택을 꼽고 있다. 더불어 도시형 전원주택인 임대형 다가구 주택과 점포 겸용 주택이 강세를 보일 것이다. 또한, 실수요자를 위한 중소형 전원주택 도시와 전원을 연계하는 주말주택, 각 세대를 층 또는 별채로 분리한 2세대 주택 등도 주목할 만하다.
이상과 현실의 조화 ‘도시 속 전원주택’
전원주택의 여유와 낭만을 꿈꾸지만 도심의 편리함도 포기할 수 없는 건축주들을 위한 도심형 주택은 도심지역의 택지지구나 타운하우스가 늘어가며 그 인기를 더해가고 있다. 편리한 교통편과 편의시설을 인근에 갖추고 있기 때문에 도시와 전원생활을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을 두루 갖추고 있다.
멀티 해비테이션 ‘주말형 주택’
주말주택이란 함은 대부분 도시에 주거지에 전원의 주택을 서브로 두는 주거 형태를 의미한다. 은퇴를 고려한 건축주들의 입장에서는 미리 전원생활을 체험해 볼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거주형식이 아닐까 싶다. 또한 가족생활과 휴식이라는 ‘힐링’을 도시생활을 하면서도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메리트가 있다.
함께살기 ‘다가구주택’
전원주택의 인기와 더불어 마음이 맞는 사람들과 의기투합하여 다가구주택을 찾는 건축주가 늘어나고 있다. 같은 필지에 별채를 두어 2세대 주택으로 활용하는 사례도 있고 복층의 주택을 층을 기준으로 분리하는 주거양식도 눈에 띈다. 각 세대의 라이프 스타일을 존중받을 수 있으면서 전원생활의 정보와 즐거움을 함께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수익과 주거를 동시에 ‘상가주택’
거리를 거닐다 보면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상가주택은 비교적 낮은 1~2층의 공간은 임대를 주어 상업적인 목적으로 이용하고 위는 주거공간으로 활용한다. 엄밀한 의미에서는 전원주택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이러한 상가주택 또한 우리나라의 주거문화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최근 상가주택에 대한 문의 또한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성큼 다가온 ‘패시브 하우스’
저에너지 고효율을 모토로 패시브 하우스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패시브 하우스는 초기투자 비용이 높은 반면에 장기적으로 보았을 땐 확실한 이익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창호의 기밀성을 높인다던지, 벽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의 기본적인 설계계획만으로도 냉난비의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따로 비용을 들여 자연에너지를 사용가능한 에너지로 바꾸지 않더라도 제법 큰 효과를 가져다준다.
2022.12.17 - [트렌드] - 트렌디한 단독주택 7가지 프리뷰
트렌디한 단독주택 7가지 프리뷰
스탠다드 주택 기본에 충실한 건축양식으로써 가장 대중적인 스타일이다. 기능적, 구조적, 심미적으로 잘 조화된 박공이나 모임형태의 지붕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별하게 튀지 않는 스타일
iftraveler.tistory.com
2022.12.15 - [트렌드] - 이 집, 제법인데? 패시브 하우스와 모듈러 하우스
이 집, 제법인데? 패시브 하우스와 모듈러 하우스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 패시브 하우스란 최소한의 난방으로 겨울을 지낼 수 있도록 열의 이동을 차단하여 실내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저에너지 건축물을 뜻한다. 이를 위해서는 건축에
iftraveler.tistory.com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캉스, 여름휴가! 이제는 호텔에서 보낸다 (2) | 2022.12.17 |
---|---|
셀프 목공 인테리어, 어떤 나무를 써야하나요? (1) | 2022.12.16 |
비대면 트렌드 : 집중력을 높여주는 건강한 홈오피스 만들기 (1) | 2022.12.16 |
지적재산 사유화 해방운동의 물결 : 오픈소스(Open Source) (0) | 2022.12.16 |
킥세권 : 마이크로 모빌리티로 생활반경의 혁신을 꾀하다 (0) | 2022.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