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과 성장판의 상하관계
사람의 뼈는 부하를 받을수록 강해지는 특성이 있다. 어긋나게 붙은 뼈가 이 과정을 통해 부하받는 쪽은 강해지고 뼈가 자라며, 부하받지 않는 쪽은 뼈가 약해지고 점차 정상 모양으로 바뀌어 가는 것이다. 성장기의 청소년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염두에 둬야 할 것이 하나 있다. 바로 ‘성장판’이라는 구조물이다. 성장판은 뼈의 말단부에 존재하며, 뼈의 길이 성장을 담당한다.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줄넘기나 농구 등 점프가 많은 운동을 하라고 권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성장판을 자극해주기 때문에 키가 더 클 수 있도록 해주므로 많이 권장하는 것이다.
하지만 청소년기의 뼈는 성인의 뼈와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청소년기의 뼈는 연하기 때문에 변형이 쉽고, 성장판 부위가 약해서 충격으로 손상 입기 쉬우며, 상대적으로 강한 힘줄과 조화롭지 못한 근육의 수축으로 인해 부착부 주변에서 뼈를 물고 떨어지는 견열골절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성장기의 청소년들은 최대 강도의 저항성운동은 수행하지 않는 게 좋다. 또 빠르고 갑작스럽게 충격을 줄 수 있는 움직임도 피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성장기의 청소년들에게는 최대 90분씩 주 3회 이하의 운동이 권장된다. 부하가 낮은 반복성운동이 적합하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운동량의 80퍼센트를 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운동 전후의 스트레칭과 쿨다운에 있어서도 성인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근육을 충분히 풀어주어야 한다. 만약 운동 중에 심각한 뒤틀림이나 충격이 있었고, 이로 인해 부종을 동반한 통증이 발생하고 관절 기능이 상실되었다면, 이는 성장판 손상으로 인한 성장 정지 가능성을 암시하는 증상이다. 이 경우 즉시 병원으로 가서 치료받아야 한다.
수술한 사람의 재활단계
어깨나 무릎을 수술할 경우, 수술한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회복되도록 일반적으로 일정 기간 고정을 시켜둔다. 이후에는 관절가동운동과 근력운동의 재활치료 과정이 필요하다. 관절가동운동은 수술 후 장기간 고정시켜두느라 굳어버린 관절의 가동 범위를 점차 늘려주는 방법이다. 마사지, 스트레칭 등을 통해 굳어버린 근육과 관절막을 풀어주어 통증을 경감시키고 근력운동을 할 수 있는 관절 상태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 때 물리치료를 동반한다면 관절가동 범위를 늘리는 것이 보다 수월해진다. 이후 수술한 구조물 또는 그 주변에서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골격의 강화를 위해 근력운동을 시행해야 한다. 이때는 고무밴드와 같은 약한 저항운동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횟수와 강도를 늘려가는데, 최종적으로는 수술 이전 또는 그 이상으로 손상 부위의 근육 상태를 복구하는 것이 목표가 되어야 하며 전문의의 진료와 처방을 꼭 따르도록 한다.
2022.12.19 - [라이프] - 이것도 모르고 운동하고 있었니? 근육기초상식
이것도 모르고 운동하고 있었니? 근육기초상식
운동을 열심히 하고 규칙적으로 하는 것도 좋지만 근육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두고 운동을 하면 훨씬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근육에 대해 알아둬야 할 몇 가지 기초 상식
iftraveler.tistory.com
2022.12.19 - [라이프] - 멋지고 섹시한 몸매를 위한 운동 노하우 세 가지
멋지고 섹시한 몸매를 위한 운동 노하우 세 가지
다들 운동에 정석은 있다고 믿으며 어느 한가지만을 고집한다. 그러나 잊지말라 사람들마다 신체조건은 다르고 운동방법과 강도 또한 다르다. 그저 단련하면 견고해지고 강해진다. 그곳에 효율
iftraveler.tistory.com
2022.12.16 - [라이프] - 트레이닝시 근육의 모습을 알아야 하는 이유
트레이닝시 근육의 모습을 알아야 하는 이유
‘근육’이라 하면 보통 텔레비전에서 자주 보는 식스펙을 자랑하는 남자 아이돌이나 보디빌더의 굵은 팔뚝 등을 떠올리게 마련이다. 하지만 정작 자신에 몸에도 ‘그것’이 존재한다는 사실
iftraveler.tistory.com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 : 환경과 함께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논의하다 (0) | 2023.05.31 |
---|---|
친환경표지, 환경 라벨링이란 무엇일까요? (0) | 2023.05.18 |
건강한 내 아이를 위한 아이방 만들기 (0) | 2022.12.19 |
나만 알고 싶은 살림살이 아이템 추천 (0) | 2022.12.19 |
이것도 모르고 운동하고 있었니? 근육기초상식 (0) | 2022.12.19 |
댓글